성공학

[스크랩] 공부

도심안 2009. 7. 20. 22:23

보이지 않는 곳에서 길을 찾아라.

남들이 많이 가는 길에 해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 기다란 줄 끝에 있다가 내 순서가 오지 않을 수도 있다.

 

일단 길을 나섰다면 최대한 적극적으로 치고 나가자.

남과 다른 성공의 이면에는 남과 다른 길이 있다.

결코 같은 속도 같은 모습, 같은 공간에서는 차별화가 어렵다.

 

 

 

 

 

 

 

 

 

의사들 사이에 오가는 은어 중 재미있는 말이 있다.

 

의사들은 환자가 들어오면 아이큐 30, 90, 120, 150이 들어왔다고 한다.

아이큐 30은 의사를 신으로 생각하고 의사가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다.

아무 생각도 고민도 없이 하라고 하면, 하지 말라고 하면 안하는 착한 환자이다.

 

아이큐 90은 자고 나면 아침마다 똑같은 질문을 반복하는 사람이다. 매일 같은 문제를 가지고 고민하지만 잠이 들면 잊어버렸다가 다시 똑같은 고민을 반복하며 사는 것이다.

 

아이큐 120은 병에 대해 알고 싶은 욕심은 많아서 쉴 새 없이 질문을 하는데, 대부분의 질문이 자신의 병과는 전혀 상관 없는 것들이라는 게 문제이다.

 

아이큐 150은 자신의 병에 대해 의사보다 더 많이 공부해서 자신의 건강하게 만드는 식단도 짤 수 있는 사람이다.

 

어떤 사람이 병이 가장 빨리 나을까? 정답은 30과 150이다.

똑같은 병을 앓아도 30과 150은 빨리 완치하는데 비해 90과 120은 잘 낫지 않는다. 어디서나 어설픈 사람이 문제다.

 

 

 

 

 

 

 

"머리 들어가면 몸은 따라 들어간다."

 

 

 

 

"공부를 잘 한다는 것은 머리가 좋다는 것이 아니다.

철들었다는 얘기이며 자기 관리가 된다는 의미이고 독하다는 뜻이다."

재능은 시작할 때는 차이가 나지만 그 끝은 차이가 나지 않는다.

어떤 조직이 있다면 10~20%는 특출난 사람, 20~30%는 노력하는 사람,

나머지 50~60%는 들러리이다.

성실함으로도 50~60%의 들러리는 가볍게 재칠 수 있다.

 

 

 

 

 

 

 

 

 

자신의 주 무대를 어디에 둘 것이지를 결정하는 사람은 대부분 선택과 집중을 잘 한 사람이다.

 

 

 

 

 

 

 

"재주 많은 사람이 굶어 죽는다."

얕은 재주로는 어설프게 인정받다가도 나중에는 이도 저도 아닌게 되는 것이다.

 

 

 

 

 

"가끔 실패하지 않는다면, 언제나 안이하게만 산다는 증거다"

- 우디 알렌

 

 

결코 그르치는 일이 없는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뿐이다.

- 로망 롤랑

 

 

삼류리더는 자기 능력을 사용하고, 이류 리더는 남의 힘을 사용하고,

일류리더는 남의 지혜를 사용한다.

 

 

출처 : 짧은 인생 값지게 살자
글쓴이 : 찰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