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관련

수도권 지하 광역급행철도(일명 대심도)

도심안 2009. 4. 22. 22:16

수도권 지하 광역급행철도(일명 대심도)

건설계획이 사실상 확정됐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13일 수도권 신개념 광역교통수단도입 용역최종보고회를 통해 광역급행전철 3개 노선 및 사업시기 등을 확정 한 뒤 이달 중 국토해양부에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국토부에 제출될 예정인 계획안은 수립 과정에서 국토부와 의견조율을 거친 것으로 계획안 상당 부분이 정부의 '장기 철도망건설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는 지하 40~50m에 건설하는 급행철도 노선으로 고양 킨텍스~동탄신도시(77.6㎞), 의정부~군포 금정(49.3㎞), 청량리~인천 송도(50.3㎞) 등 3개 노선을 제안하고 있다.

전체 사업비 12조원은 민간자본 60%(7조2,000억원), 신도시개발부담금 20%(2조4,000억원), 국비 15%(1조8,000억원), 서울시 및 경기도 부담 5%(6,000억원)로 충당한다는 구상도 담고 있다.
국토부는 이미 지난해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광역급행철도 건설 방침을 밝힌 가운데 도가 시행하고 있는 관련 연구용역결과를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2015년 완공 예정)∼서울 삼성동을 연결하는 대심도(大深度) 고속철도가 과연 건설될 수 있을까.
경기도는 올해 초 경기 남부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광역교통망 확충 차원에서 지하 40∼50m에 건설되는 대심도 고속철도 구상을 내놓았다. 37.7㎞ 구간을 복선터널(중간역 2곳)로 공사할 경우 2조7000억원이 들며, 통행시간은 18.4분이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구상은 안전성이나 경제성을 놓고 논란을 불러왔다. 더구나 서울 수서∼동탄∼평택(60.7㎞)을 KTX로 연결한다는 국토해양부의 복안과 충돌하면서 실현 가능성을 의심받았다. 그러나 최근 경기도와 국토부가 공동으로 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을 발주하면서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건설비 상대적으로 적어”=국토부는 올 7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네크워크 사업 구상'을 발표하면서 수도권 대심도 철도 건설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수도권 교통 정체를 급행철도로 연결하려는 이 사업을 위해 국토부는 동탄~삼성을 비롯해 서너 개 노선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 대규모 건설업체 10곳도 자체적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 참여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상태다.
대심도 철도안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 것은 건설비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 경기도 이진수 교통정책과장은 “깊은 땅속에 길을 뚫기 때문에 토지보상비가 거의 들지 않아 기존 철도에 비해 건설비가 40%가량 절감된다”고 말했다. 지하에서 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민원 발생이 적은 것도 장점이다. 경기도의 용역을 맡고 있는 고승영(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서울대 교수는 “기존 철도는 노선이 구불구불한 데다 속도까지 느려 승용차 의존율이 심화되고 있다”며 “노선을 직선화하고 중간 정차를 최소화하면 동탄신도시에서 서울 삼성동까지 20분 안에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심도 고속철도=지하 40∼50m 깊이에 철도를 건설하는 방식. 지하 40m 이하 깊이에 공사할 경우 관련법상 지상 토지 소유주에게 땅값의 0.2% 이하만 보상해주면 된다. 미국 워싱턴(79m), 러시아 모스크바(84m), 북한 평양(100∼150m) 지하철 등이 대표적인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