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위기의 시대..국가운영 체계 대전환 필요"
"尹정부 위기의 시대..국가운영 체계 대전환 필요"
새 행정체제, 인재관리, 공공기관 관리시스템 필요
이근면 "韓 패러다임 전환,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국가운영 체계 대전환 필요성이 제기됐다.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불거지는 국내외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국가운영 시스템부터 제대로 갖춰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4일 국가인재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지난달 30일 서울 광화문 HJ 비즈니스 센터에서 세종대 국정관리연구소와 함께 ‘공공개혁과 국가운영체계 대전환 방안’ 주제로 포럼을 열고 이같은 방안을 모색했다.

연구원은 ‘성공하는 공공행정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 과제로 △새로운 정부 행정체제 모색 △국가 인재의 효율적인 관리시스템 구축 △공공기관의 효율적인 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어 ‘공공개혁과 국가운영체계 대전환 방안’ 아젠다를 선정하고 방향성에 대해 토론하는 포럼을 세 차례 열기로 했다.
첫날 포럼에는 명승환 인하대 교수, 황성원 군산대 교수, 최현선 명지대 교수, 박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곽노성 연세대 교수, 김태신 한국노총 본부장, 김택동 국가인재경영연구원 사무총장, 박수정 행정개혁 시민연합 사무총장, 노정란 명지대 교수 등이 발제 및 토론에 참여했다.
이근면 초대 인사혁신처장은 “지금 대한민국은 어떤 꿈을 가지고 있는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어떤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 것인가”라며 “대전환의 시대에 대한민국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전환해야 할지, 어떻게 이를 선제적으로 추진할지 등을 면밀히 고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으로 국가인재경영연구원은 정부, 국회, 지역을 중심으로 한 과제와 해결 방안을 찾아낼 방침이다. 민경찬 이사장(연세대 명예교수)은 “대한민국은 도전의 새 시대를 선도하는 국가로 반드시 성공해야만 한다”며 “대전환 시대에서 새로운 위기들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는 다양한 과제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안전하고 건강한 국가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훈길 (choigiga@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영끌'해 집 산 2030 빚 부담 증가폭, 집 없는 동년배의 13배
- 尹은 기차, 조종석엔 김건희 여사…고등학생이 그린 그림은
- “직원 월급 줄 돈 없어”…기증된 인체조직 ‘할인판매’한 공공기관
- 보수평론가 "이제 이XX도 안했다고, 정면돌파 아닌 자기최면"
- 횡단보도 건너다 택시 치인 제주 여중생, 보름 만에 숨져
- 경찰이 조작한 살인범…진범이 무죄를 증언하다[그해 오늘]
- 킴 카다시안, 가상화폐 인스타 뒷광고 적발…벌금 126만 달러
- '이제 뭐 에이스도 아닌데요' 부담 내려놓으니 더 편해진 문성민
- 손예진, 극장나들이…남편 현빈 출연 ‘공조2’ 관람
- 前 마약 중독자가 돈스파이크에 놀란 이유…"그럴 몸 아닌데"